[태그:] 항일독립운동
-
홍의식의 진해에서의 항일독립운동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11. 27. 조사보고서 : 1기_홍의식의 진해에서의 항일독립운동 사건 개요 홍의식은 일제강점기 동안 진해에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서대문형무소와 마산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그의 후손인 홍기원이 이 사실을 확인하고 진실규명을 요청함에 따라 진실화해위원회가 조사를 진행했다. 진실규명 과제 조사 과정에서 홍의식의 수형 기록과…
-
윤재환의 1930년대 재동경 유학생 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7. 3. 조사보고서 : 1기_윤재환의 1930년대 재동경 유학생 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윤재환은 개성 송도고등보통학교(현, 인천송도고등학교) 재학 중 항일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예산경찰서와 서울 동대문 경찰서에 구금되었으며, 일본 법정대 전문학부 재학 중이던 1938년 일본 ‘재 동경 유학생 독립운동’…
-
신희종의 항일운동 행적규명과 명예회복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6. 26. 조사보고서 : 1기_신희종의 항일운동 행적규명과 명예회복 사건 사건 개요 신희종(1900.5.5~1932.4.13)은 신도출, 주남고 등과 함께 독립운동 활동에 참여하여 연락총책을 맡았으며, 신한별보 수천 부를 등사하여 함양, 김천, 합천 등지로 배포하는 활동을 했다고 주장됩니다. 1932년 4월 10일 거창경찰서…
-
이성지의 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7. 26. 조사보고서 : 1기 이성지의 항일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이성지(李成智)는 서울 중동학교 재학 시절 항일 학생운동을 하였고, 신안군 지도읍으로 낙향하여 1924년 신안군 지도 소작쟁의 발생 당시 지도 소작인공조회 간부로 활동하였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그는 소작쟁의와 관련하여 1925년 광주지방법원에서…
-
지복동의 일제시기 행방불명 후 사망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5. 29. 조사보고서 : 1기_지복동의 일제시기 행방불명 후 사망사건 사건 개요 지복동(1914년 3월 3일 ~ 1945년 6월 19일)은 1944~45년경 조선중공업에 출근하던 중 행방불명되었습니다. 이후 그는 1945년 6월 19일 부산형무소에서 사망하였습니다. 신청인은 지복동이 왜 행방불명되었는지, 왜 부산형무소에 수감되었는지, 그리고…
-
이윤희의 1920년대 흑우회 등을 통한 항일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5. 29. 조사보고서 : 1기_이윤희의 1920년대 흑우회 등의 항일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이윤희는 1922년 말과 1923년 초에 대전 및 고향인 대덕군 기성면 가수원리를 중심으로 농민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일본 도쿄와 오사카 지역을 중심으로 흑우회, 흑우연맹, 조선일반노동자조합, 조선자유노동자연맹 등…
-
박창래의 여수수산학교 학생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5. 15. 조사보고서 : 1기_박창래의 여수수산학교 학생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박창래(1914년생)는 여수공립 수산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30년, 학생독립운동 비밀결사 조직인 ‘독서회’에서 활동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박창래는 다른 독서회 관련자 21명과 함께 퇴학 처분을 받고 체포되어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을…
-
정상윤의 신간회 평북 철산지회 결성활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5. 15. 조사보고서 : 1기_정상윤의 신간회 평북 철산지회 결성활동 사건 사건 개요 정상윤은 명치대학교 3학년 재학 중인 1928년 여름방학 동안 고향인 평안북도 철산군에서 신간회 철산지회를 결성하였습니다. 1928년 8월 12일, 그는 정치언, 박봉수, 정국일 등과 함께 신간회 철산지회 발기인…
-
장도원의 함흥만세운동 사건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4. 17. 조사보고서 : 1기_장도원의 함흥만세운동 사건 사건 개요 장병열의 신청에 따라 장도원이 3·1운동 당시 함흥 영생중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가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는 주장을 조사하였습니다. 또한, 장도원이 성서조선에 독립정신을 고취하는 글을 기고하여 일제의 핍박을 받았다는 주장에 대해 진실을…
-
김예태의 영동군 황간장터 만세운동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조사보고서 : 1기_김예태의 영동군 황간장터 만세운동 사건 개요 김초미의 신청에 따라 1920년대 김예태가 영동군 황간장터에서 대규모 3·1 독립 만세운동을 주도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김예태는 일본 헌병에 의해 체포되었고, 만세운동을 주도한 인물로 지목되었습니다. 결정 요지 증언 불충분: 김예태가 황간장터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했다는 이칠만의 증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