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진실규명결정
-
문경 석달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2국 사건유형 : 민간인집단희생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6. 26. 조사보고서 : 1기_문경 석달 사건 문경 석달 사건 개요 및 경위 문경 석달 사건은 1949년 12월 24일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석봉리 석달마을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국군 제2사단 제25연대 제2대대 제7중대 제2소대 및…
-
고양 금정굴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2국 사건유형 : 민간인집단희생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6. 26. 조사보고서 : 1기_고양 금정굴 사건 사건 개요 1950년 10월 9일부터 31일까지, 한국전쟁 중 고양경찰서장의 지휘 아래 고양지역과 파주 일부지역에서 부역 혐의자 및 그 가족이라는 이유로 153명 이상의 주민들이 경찰관들에 의해 금정굴에서 집단총살당한 사건입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 사건의…
-
나주 동창교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2국 사건유형 : 민간인집단희생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6. 12. 조사보고서 : 1기_나주 동창교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 사건 개요 1951년 2월 26일, 한국전쟁 중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 동박굴재에서 나주경찰서 특공대원들에 의해 서치호 외 27명이 부역 혐의와 빨치산 협력 혐의로 집단총살된 사건입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 사건의 진실을…
-
나주 동박굴재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2국 사건유형 : 민간인집단희생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4. 17. 조사보고서 : 1기_나주 동박굴재 사건 사건 개요 1951년 2월 26일, 한국전쟁 중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 동박굴재에서 나주경찰서 특공대원들에 의해 서치호 외 27명이 부역 혐의와 빨치산 협력 혐의로 집단총살된 사건입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 사건의 진실을 규명하여 희생자들의…
-
주문진 지역 양봉열 외 4인의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적대세력관련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7. 3. 조사보고서 : 1기_주문진 지역 양봉렬 외 4인의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사건 개요 주문진읍 삼교리에서 1950년 4월 6일, 심상필 집에 침입한 무장공비에게 심상필이 희생되었으며, 이 사건에 관련되었다는 이유로 한국전쟁 발발 이후 양봉열, 심상열, 정계술은 내무서원이 불러서…
-
양평지역 적대세력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적대세력관련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7. 3. 조사보고서 : 1기_양평지역 적대세력 사건 사건 개요 양평 적대세력 사건은 1950년 9월 26일에서 30일 사이에 양평군 양평면, 용문면, 옥천면, 강하면, 단월면 주민 61명이 후퇴하던 인민군과 정치보위부 내무서원에 의해 양평군 양평면 양근4리 한강변 백사장에서 집단 피살된 사건입니다.…
-
이윤희의 1920년대 흑우회 등을 통한 항일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5. 29. 조사보고서 : 1기_이윤희의 1920년대 흑우회 등의 항일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이윤희는 1922년 말과 1923년 초에 대전 및 고향인 대덕군 기성면 가수원리를 중심으로 농민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일본 도쿄와 오사카 지역을 중심으로 흑우회, 흑우연맹, 조선일반노동자조합, 조선자유노동자연맹 등…
-
박창래의 여수수산학교 학생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5. 15. 조사보고서 : 1기_박창래의 여수수산학교 학생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박창래(1914년생)는 여수공립 수산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30년, 학생독립운동 비밀결사 조직인 ‘독서회’에서 활동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박창래는 다른 독서회 관련자 21명과 함께 퇴학 처분을 받고 체포되어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을…
-
정상윤의 신간회 평북 철산지회 결성활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5. 15. 조사보고서 : 1기_정상윤의 신간회 평북 철산지회 결성활동 사건 사건 개요 정상윤은 명치대학교 3학년 재학 중인 1928년 여름방학 동안 고향인 평안북도 철산군에서 신간회 철산지회를 결성하였습니다. 1928년 8월 12일, 그는 정치언, 박봉수, 정국일 등과 함께 신간회 철산지회 발기인…
-
반탁운동가들의 소련유형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해외동포사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8. 8. 27. 조사보고서 : 1기_반탁운동가들의 소련유형 사건 사건 개요 반탁운동가들의 소련유형 사건은 신경득 외 18명이 북한 지역에서 신탁통치 반대운동에 참여한 이유로 구(舊)소련으로 유형되어 강제노역을 당한 사건입니다. 이들은 1953년 스탈린 사망 직후 복권되었지만, 구소련의 다른 지역으로 격리되어 무국적자로 힘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