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진실화해위원회
-
나주 동창교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2국 사건유형 : 민간인집단희생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6. 12. 조사보고서 : 1기_나주 동창교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 사건 개요 1951년 2월 26일, 한국전쟁 중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 동박굴재에서 나주경찰서 특공대원들에 의해 서치호 외 27명이 부역 혐의와 빨치산 협력 혐의로 집단총살된 사건입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 사건의 진실을…
-
나주 동박굴재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2국 사건유형 : 민간인집단희생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4. 17. 조사보고서 : 1기_나주 동박굴재 사건 사건 개요 1951년 2월 26일, 한국전쟁 중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천리 동박굴재에서 나주경찰서 특공대원들에 의해 서치호 외 27명이 부역 혐의와 빨치산 협력 혐의로 집단총살된 사건입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 사건의 진실을 규명하여 희생자들의…
-
주문진 지역 양봉열 외 4인의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적대세력관련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7. 3. 조사보고서 : 1기_주문진 지역 양봉렬 외 4인의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사건 개요 주문진읍 삼교리에서 1950년 4월 6일, 심상필 집에 침입한 무장공비에게 심상필이 희생되었으며, 이 사건에 관련되었다는 이유로 한국전쟁 발발 이후 양봉열, 심상열, 정계술은 내무서원이 불러서…
-
양평지역 적대세력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적대세력관련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7. 3. 조사보고서 : 1기_양평지역 적대세력 사건 사건 개요 양평 적대세력 사건은 1950년 9월 26일에서 30일 사이에 양평군 양평면, 용문면, 옥천면, 강하면, 단월면 주민 61명이 후퇴하던 인민군과 정치보위부 내무서원에 의해 양평군 양평면 양근4리 한강변 백사장에서 집단 피살된 사건입니다.…
-
윤재환의 1930년대 재동경 유학생 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7. 3. 조사보고서 : 1기_윤재환의 1930년대 재동경 유학생 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윤재환은 개성 송도고등보통학교(현, 인천송도고등학교) 재학 중 항일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예산경찰서와 서울 동대문 경찰서에 구금되었으며, 일본 법정대 전문학부 재학 중이던 1938년 일본 ‘재 동경 유학생 독립운동’…
-
신희종의 항일운동 행적규명과 명예회복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6. 26. 조사보고서 : 1기_신희종의 항일운동 행적규명과 명예회복 사건 사건 개요 신희종(1900.5.5~1932.4.13)은 신도출, 주남고 등과 함께 독립운동 활동에 참여하여 연락총책을 맡았으며, 신한별보 수천 부를 등사하여 함양, 김천, 합천 등지로 배포하는 활동을 했다고 주장됩니다. 1932년 4월 10일 거창경찰서…
-
이성지의 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7. 26. 조사보고서 : 1기 이성지의 항일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이성지(李成智)는 서울 중동학교 재학 시절 항일 학생운동을 하였고, 신안군 지도읍으로 낙향하여 1924년 신안군 지도 소작쟁의 발생 당시 지도 소작인공조회 간부로 활동하였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그는 소작쟁의와 관련하여 1925년 광주지방법원에서…
-
지복동의 일제시기 행방불명 후 사망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5. 29. 조사보고서 : 1기_지복동의 일제시기 행방불명 후 사망사건 사건 개요 지복동(1914년 3월 3일 ~ 1945년 6월 19일)은 1944~45년경 조선중공업에 출근하던 중 행방불명되었습니다. 이후 그는 1945년 6월 19일 부산형무소에서 사망하였습니다. 신청인은 지복동이 왜 행방불명되었는지, 왜 부산형무소에 수감되었는지, 그리고…
-
이윤희의 1920년대 흑우회 등을 통한 항일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5. 29. 조사보고서 : 1기_이윤희의 1920년대 흑우회 등의 항일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이윤희는 1922년 말과 1923년 초에 대전 및 고향인 대덕군 기성면 가수원리를 중심으로 농민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일본 도쿄와 오사카 지역을 중심으로 흑우회, 흑우연맹, 조선일반노동자조합, 조선자유노동자연맹 등…
-
박창래의 여수수산학교 학생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5. 15. 조사보고서 : 1기_박창래의 여수수산학교 학생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박창래(1914년생)는 여수공립 수산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30년, 학생독립운동 비밀결사 조직인 ‘독서회’에서 활동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박창래는 다른 독서회 관련자 21명과 함께 퇴학 처분을 받고 체포되어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