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진실규명불능
-
문경 석달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2국 사건유형 : 민간인집단희생 결정유형 : 진실규명결정 결정일 : 2007. 6. 26. 조사보고서 : 1기_문경 석달 사건 문경 석달 사건 개요 및 경위 문경 석달 사건은 1949년 12월 24일 경상북도 문경군 산북면 석봉리 석달마을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국군 제2사단 제25연대 제2대대 제7중대 제2소대 및…
-
윤재환의 1930년대 재동경 유학생 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7. 3. 조사보고서 : 1기_윤재환의 1930년대 재동경 유학생 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윤재환은 개성 송도고등보통학교(현, 인천송도고등학교) 재학 중 항일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예산경찰서와 서울 동대문 경찰서에 구금되었으며, 일본 법정대 전문학부 재학 중이던 1938년 일본 ‘재 동경 유학생 독립운동’…
-
신희종의 항일운동 행적규명과 명예회복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6. 26. 조사보고서 : 1기_신희종의 항일운동 행적규명과 명예회복 사건 사건 개요 신희종(1900.5.5~1932.4.13)은 신도출, 주남고 등과 함께 독립운동 활동에 참여하여 연락총책을 맡았으며, 신한별보 수천 부를 등사하여 함양, 김천, 합천 등지로 배포하는 활동을 했다고 주장됩니다. 1932년 4월 10일 거창경찰서…
-
이성지의 독립운동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7. 26. 조사보고서 : 1기 이성지의 항일독립운동 사건 사건 개요 이성지(李成智)는 서울 중동학교 재학 시절 항일 학생운동을 하였고, 신안군 지도읍으로 낙향하여 1924년 신안군 지도 소작쟁의 발생 당시 지도 소작인공조회 간부로 활동하였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그는 소작쟁의와 관련하여 1925년 광주지방법원에서…
-
지복동의 일제시기 행방불명 후 사망 사건
위원회 : 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결정일 : 2007. 5. 29. 조사보고서 : 1기_지복동의 일제시기 행방불명 후 사망사건 사건 개요 지복동(1914년 3월 3일 ~ 1945년 6월 19일)은 1944~45년경 조선중공업에 출근하던 중 행방불명되었습니다. 이후 그는 1945년 6월 19일 부산형무소에서 사망하였습니다. 신청인은 지복동이 왜 행방불명되었는지, 왜 부산형무소에 수감되었는지, 그리고…
-
김예태의 영동군 황간장터 만세운동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조사보고서 : 1기_김예태의 영동군 황간장터 만세운동 사건 개요 김초미의 신청에 따라 1920년대 김예태가 영동군 황간장터에서 대규모 3·1 독립 만세운동을 주도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가 진행되었습니다. 김예태는 일본 헌병에 의해 체포되었고, 만세운동을 주도한 인물로 지목되었습니다. 결정 요지 증언 불충분: 김예태가 황간장터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했다는 이칠만의 증언이…
-
김진수의 중국내 항일독립운동 사건
조사국 : 조사1국 사건유형 : 항일독립운동 결정유형 : 진실규명불능결정 조사보고서 : 1기_김진수의 중국내 항일독립운동 사건 개요 김진수는 1922년 중국으로 건너가 3년간 만주에 있는 신흥무관학교 기마대에서 교육을 받고, 전령으로 활동한 후 모스크바 ‘약소민족해방훈련소’에서 교육을 받은 뒤 중국 상해, 하얼빈, 운남, 북경 등지에서 활발히 항일활동을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2006년 12월 5일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이 사건에 대해 진실규명…